글로벌 분산형 오라클 플랫폼(Decentralized Oracle)인 Plugin(이하 플러그인)이 국내에 출시해 한국 유저들도 직접적으로 활용할 기회가 주어졌다.
20일 플러그인은 “XDC Network의 모든 스마트 계약을 위한 비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곧 국내에 서비스를 론칭한다"라고 전했다. 해당 플랫폼은 UAE에 있는 Suvik Group of Companies 제품이며 XDC 네트워크 생태계의 모든 스마트 콘트랙트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 피드를 활용하는 모든 종류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앱)에 대한 보안 및 확장성을 공급 중이다. 또한 플러그인의 자체 토큰인 PLC 토큰은 Bitrue, Probit Global, Liquid 등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돼있다.
현재 오라클(Oracle)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기능도 우수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이는 기존 소프트웨어 앱이 API를 이용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블록체인 스마트 콘트랙트와 외부 데이터 소스 세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오라클은 외부에서 신뢰받고 있는 강력한 데이터 소스로 블록체인 앱과 외부 데이터 간 격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도맡는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DeFi(탈중앙화 앱, 디파이) 앱은 BTC/USD의 실시간 가격이 필요하다. 여기서 오라클의 역할은 검증된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와 블록체인 앱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플러그인은 "모든 오라클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산 아키텍처로 이것은 모든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매우 중요하다"라며 "다만, 오라클 제공자는 단일 실패 지점을 피하고 올바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탈중앙화를 따르는 것이 좋다"라고 밝혔다.
업체의 설명을 분석하자면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에 잘못된 BTC/USD 환율값을 제공하면 막대한 손실을 발생해 간혹가다 소송으로도 이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서 플러그인은 "우리는 데이터 피드를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높은 수준의 보안과 확장성을 제공한다"라며 "데이터 피드가 고객 및 XDC 커뮤니티의 요구에 따라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것이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해당 업체는 "국내 론칭을 앞두고 한국 사용자들과 만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기존 분산형 오라클 플랫폼과는 차별화된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 및 합리적인 비용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향후 ‘Plugin’ 플랫폼의 국내 출시를 통해 국내에도 분산형 오라클 플랫폼이 시장에 자리 잡을지 지켜보려고 한다.
한편 지난 16일 디크립트는 글로벌 최대 NFT(대체불가토큰) 마켓플레이스인 오픈씨(OpenSea)가 이더리움 가스비를 절약하는 방안으로 새로운 스마트 콘트랙트인 ‘시포트 프로토콜(Seaport Protocol)’로 이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