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두나무, ‘UDC 2022’ 1차 글로벌 연사 라인업 공개해

    • 권우이 기자
    • |
    • 입력 2022-06-20 10:42
    • |
    • 수정 2022-06-20 10:42

더 샌드박스 CEO, 아발란체(AVAX), 스테픈(STEP’N) 마케팅 총책임자 등 이름 올려

▲두나무, ‘UDC 2022’ 1차 글로벌 연사 라인업 공개해

국내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블록체인 콘퍼런스 ‘UDC 2022’이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가운데, 1차 글로벌 연사 라인업이 공개돼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지난 20일 블록체인을 아우르는 핀테크 기업 두나무가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pbit Developer Conference, 이하 UDC) 2022’의 1차 글로벌 연사 라인업이 공개돼 화제이다.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우리의 품에 돌아오는 UDC 2022는 ‘Imagine your Blockchain Life(상상하라, 블록체인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주제를 가지고 오는 9월 22~23일 약 이틀 동안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다.

이번에 공개된 UDC 2022 1차 연사 후보에는 NFT(대체불가토큰), 메타버스와 게이밍, 웹 3.0(Web 3.0),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트래블룰 등 블록체인 최신 동향과 관련된 전문가들이 대거 등장했다.

[출처: 두나무]

구체적으로 연사로 나서는 후보는 더 샌드박스(The SandBox) 최고운영책임자와 공동 설립자인 세바스찬 보르제를 시작으로 ▲방탄소년단이 속해있는 하이브의 하이브 아메리카(HYBE America) 대표 이재상 ▲스포츠 시장에 팬토큰을 도입한 플랫폼 필리즈(Chiliz) 대표 알렉스 드레이푸스 ▲M2E(Move to Earn) 열풍을 불러일으킨 스테픈(STEP’N)의 마케팅 총책임자 쉬티 라스토기 망가니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확장 솔루션 프로젝트 폴리곤(polygon)의 개발자 관계 활동 총책임자인 달립 티야기 등이 있다.

더 나아가 ▲PoS(지분증명) 기반 레이어1 메인넷 플랫폼 알고랜드(Algorand) 디벨로퍼 애드보케이트(개발 전도사) 라이언 폭스 ▲DAG 기반 레이어1 메인넷 플랫폼 아발란체(Avalanche, AVAX)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애런 버치왈드 ▲최근 에버랜드 등 다수의 기업과 협업을 진행 중인 블록체인 게이밍 플랫폼 플레이댑(PlayDapp) 개발총괄 최성원 등이 발표자로 나서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블록체인 관련 사업가 외에도 트론(TRX) 기반 NFT(대체불가토큰) 마켓플레이스 에이프엔에프티(APENFT) 대표 스티브 리우 ▲국내 블록체인법학회 학회장 이정엽 ▲팽수와 팽수 NFT를 제작한 EBS 아트 디렉터 한결 ▲VR(가상현실) 기반 NFT 파인아트 작품을 선보이는 김남표 작가도 라인업에 올라왔다. 이 외에도 추후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알리고 있는 글로벌 리더들도 추가로 합류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UDC 2022 참가 등록 및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앞서 지난 17일을 기점으로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참여할 수 있는 얼리버드 등록이 열렸으며 블라인드 등록과 같이 차례대로 판매 마감된다. 특히 연사 공개에 앞서 지난 5월 열린 블라인드 티켓 등록은 일주일 만에 조기 마감돼 국내 대표 블록체인 콘퍼런스의 위상을 또 한 번 보여줬다.

두나무 한 관계자는 “올해도 블록체인 트렌드 및 미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전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이 UDC 2022와 함께 한다”라며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 블록체인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향후 공개될 UDC 2022 연사 2차 라인업에는 또 어떤 인재가 참석할지 기대된다.

한편 지난 14일 지난해 이어 2년 연속으로 온라인에서 열린 ‘넥슨개발자콘퍼런스(NDC)’가 올해 누적 조회수 약 7만 9,703건이라는 기록을 세운 바 있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권우이 기자 |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