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한전)가 내년까지 자체적 블록체인 네트워크 ‘KEPCO 체인’을 구축하고 전력 거래 내 블록체인을 도입할 예정이다.
28일 한국전력공사(한전) 책임연구원인 주성호는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가 개최한 ‘디지털경제와 DAO’ 세미나에서 “전력시장에서는 블록체인이 표면상에 나와있지 않아 블록체인이 가진 특수성이 어떻게 적용될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라며 “상용화 가능한 것에 초점을 두고 내년 문서관리 서비스를 기점으로 재생에너지와 관리, 전력 거래의 정산 등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생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한전은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블록체인 연구과제를 추진하며 에너지 거래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업체는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을 위해 ‘KEPCO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과 서비스 개발’ 과제를 통해 삼성SDS를 사업자로 선정하고 ‘KEPCO 체인’ 구축을 진행했다.
KEPCO 체인은 허가된 기관만 참여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며 내부 업무용과 외부 관계기관과 연계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정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 구축이 완료되면, 문서관리와 같은 대국민 서비스를 필두로 공공사업의 조달업무, 에너지 관리, 전력 거래 등에 한전의 독자적 체인이 적용될 예정이다.
한전 주 연구원은 “초기에는 외부 플랫폼으로 전력 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의 상용 가능성을 검증했고, 지난해부터는 독자 플랫폼을 확보해 활용 범주를 넓혀오고 있다”라며 “KEPCO 체인에 하이퍼레저와 이더리움 간 자료 연계와 원장 공유, 독자적 합의 알고리즘 트랜잭션 가속 처리 기법을 연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한전이 상용화하려는 첫 번째 목표는 문서 작업의 디지털화이다. 이는 단기적으로 인사와 채용 과정부터 적용이 되며 추후 기존에 지류로 된 각종 문서와 서류들을 정부 24 등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고, 블록체인을 도입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얻으려는 계획이다.
또한 전자공급계약(PPA) 업무에도 KEPCO 체인이 도입될 예정이다. 한전의 전기 공급 계약은 그 과정이 주기적으로 이뤄지며, 타 공공기관과 검증된 데이터 교환이 필요했다. 그러나 디지털화하고 블록체인을 입힌다면 방대한 양의 서류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주성호는 “상반기까지는 각종 서류들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할 것”이라며 “사회 공유 문서에 위변조 원천 방지기술을 적용한 대외 발급 서류 검증 서비스를 개발하고, 안전관리와 진본검증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장기적 목표로 업체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자체 ‘탄소배출권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을 계획 중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의 입찰과 거래, 청산/결제와 인증 등의 복잡한 절차를 관리할 허브(Hub)형 인프라를 구축해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는 “에너지 거래 관리 부문에서는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려는 캠페인)을 위한 전력 거래 통합 관리 인프라, 이행 실적 제출을 위한 증빙 기술 등이 필요하다”라며 “이러한 시스템 안전성을 보장할 근거로 블록체인이 활용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국내 기관 및 대기업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1일 산림청은 다가오는 식목일을 앞두고 두나무, 한국산림복지진흥원과 공동으로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일주일 동안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온라인 내 나무 갖기 행사는 추진했으며 지난해 말 지엘에코팜은 블록체인으로 환경을 위한 탄소중립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회공헌과 의사결정 구조의 새로운 혁신을 이끄는 계획을 내세웠다. 이에 향후 탄소중립을 향하는 기업들이 늘어날지 기대된다.
한편, 지난 1월 삼성전자도 본격적인 블록체인 시장에 뛰어들었다. 스마트 TV에 NFT(대체불가토큰)를 지원하는 한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식수사업에 블록체인을 이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