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와 지자체가 지방 도시 블록체인 경쟁력 상승을 위해 관련 허브를 제작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광역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지방 도시의 블록체인 경쟁력을 높이고자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 허브’를 제작한다.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 허브’는 과기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올해 처음 시작하는 사업으로써 과기부와 광역 지자체가 각각 17억 원씩 총 34억 원을 투자한다.
지난 17일 KISA는 카카오TV, 유튜브 등 온라인으로 진행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에서 블록체인 분야 디지털 뉴딜 사업 계획을 전했다.
KISA 블록체인 핀테크팀 팀장인 오주형은 "블록체인 기업 중 88%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블록체인 산업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이 부족하고, 지방 도시의 블록체인 기술 경쟁력이 매우 낮다"라며 "사전 수요조사 결과, 블록체인 기업 중 91.4%와 지역자치단체의 35%가 기술혁신지원 허브를 희망했다"라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 허브 구축 사업은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기술 개발·검증 테스트 인프라 구축 ▲NFT(대체불가토큰) 등 블록체인 융합 기술 개발 지원 ▲지역 블록체인 기업 육성지원 등을 목표로 한다.
또한,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블록체인 통합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역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공간을 제공하며 관련 전문인력도 양성할 계획이다. 참여 대상에게는 사업화 지원, 시장 판로 개척, 자금 조달과 더불어 컨설팅, 데모데이 개최 등의 혜택도 제공받는다.
앞서 언급된 사업 예상은 정부출연급 17억 원에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17억 원을 더해 총 34억 원 규모로 집계되며 광역 지자체와 해당 지자체가 직접 출자하고 출연한 ICT 진흥관(해당 지역 소재)으로 컨소시엄 한곳을 지원할 전망이다. 다만 광역 지자체 중 정부출연금에 상용하는 금액 지원할 수 있는 곳만 해당 사업에 지원할 수 있고 만약 블록체인 지원 시설이 있다면 선정에서 제외된다.
KISA는 오는 3월 초 사업 공모를 시작해 4월 중으로 후보자를 선출하고 4월 안에 후보자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5월부터 9월까지 센터를 구축해 9월 중 센터를 개소한다.
더불어 과기부와 KISA는 189억 원 규모의 ‘2022 블록체인 시범 확산사업’도 실시한다. 그간 공공 및 민간 분야 관계없이 자유 공모로 진행된 것과 달리 올해부터는 공공 분야는 지정과제, 민간 분야는 자유 공모로 구별한다.
민간 분야 확산사업은 1개만 진행되며, 시범 사업은 ▲NFT·메타버스(4개) ▲분산 ID·전자문서·마이데이터(4개) ▲상호운용성(2개) ▲자유 분야(2개) 등으로 구성되며 공공 분야는 확산사업 4개 과제, 시범사업 7개 과제에서 지원받는다. 대표적으로 확산사업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강화’를 내걸었고, 시범사업에서 서울특별시는 ‘블록체인 기반 공공일자리 표준 전자근로계약 및 이력 관리 플랫폼을 제작한다.
KISA 블록체인 확산팀 팀장인 하태균은 "올해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플랫폼이 없더라도 참여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라며 "3월 11일 사업설명회를 통해 지원 희망 업체들의 질문에 답하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과기부는 블록체인 고도화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과기부는 ‘데이터 보호 핵심기술 개발 전략’을 발표해 암호화 데이터와 블록체인 등 관련 기술에 3년간 117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고 암호화폐 사업자의 신고 기간 종료일을 앞두고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획득한 거래소를 40개에서 43개 사로 소폭 확대했다. 이에 과기부가 다양한 투자를 감행해 우리나라가 블록체인 강대국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한편, 지난해 12월 과기부는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을 최종 발표했는데 전체 예산 중 3%에 속하자 사업 예산이 소극적으로 지급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