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질병청 ‘백신 여권’ DID 기술 검증 논란

    • 박혜원 기자
    • |
    • 입력 2021-04-19 15:21
    • |
    • 수정 2021-04-19 15:21

인프라 블록체인, 국제 기술 목록에 미등재
경쟁 입찰 없이 업체 선정

▲질병청 ‘백신 여권’ DID 기술 검증 논란
[출처 : 블록체인랩스]

최근 질병청과 블록체인랩스가 개발한 ‘백신 여권’의 DID 기술 검증 여부에 대한 논란이 들끓고 있다.

지난 15일 질병청이 공개한 블록체인 기반 백신 여권 ‘COOV’는 민간 블록체인 기업 블록체인랩스의 블록체인 기술 무상 제공으로 개발됐다. 해당 기술은 스마트기기에 DID를 적용해 질병청에서 개인 백신 접종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블록체인랩스에 따르면, 해당 기술은 지난 2018년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인프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성됐다. 블록체인랩스 측은 암호화폐가 없으면서 누구나 합의 노드에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서로 다른 플랫폼을 통해 발행된 DID 간 호환 문제도 해결했다며, 해당 기술을 통해 만든 백신 여권 시스템 ‘패스 인프라’가 여러 국가 및 단체의 기술과도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블록체인랩스의 DID 기술이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만큼 기술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이 공개된 것은 2018년이 아닌 2020년으로, 개발이 완성된 지 반년이 채 되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더불어 호환성 여부도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백신 여권 앱을 통해 발행받는 분산 ID를 해외 또는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산 신원 확인 체계에 대한 규격을 제시하는 W3C, DIF 등과 같은 국제 협회에 기술 등록 및 호환 여부 검증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인프라 블록체인은 현재 해당 국제 협회들의 DID 기술 목록에 등재되지 않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DIF에 가입된 DID 기술 기업은 W3C의 DID 메소드 리스트에 기술이 등록되어야 호환 여부가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블록체인랩스의 기술은 해당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라며 “인프라 블록체인은 지난해 12월에 개발된 것으로, 정부에서 하는 사업에 참여할 만큼 기술력과 안전성을 갖췄는지 의심된다”라고 전했다.

또한 해당 업체 선정 과정에 있어서도 공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의견이다. 통상 정부 진행 사업의 경우, 나라장터 등의 입찰 과정을 거쳐 충분한 기술 검증 과정을 마친 뒤 수주 업체를 선정하지만, 이번 백신 여권 사업자는 경쟁 입찰을 거치지 않고 질병청이 블록체인랩스의 기술 기부 제안을 받아들이며 선정됐다.

한편, 올해 KISA의 DID 집중사업은 DID 연합체를 해당 사업의 우선 협상자로 선정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단독 백신 여권 출시와 함께 질병청이 민간 기업들의 백신 접종내역 접근을 막으며 해당 사업 진행에도 차질이 생겼다.

DID 연합체 관계자는 “KISA와 1차 기술협상까지 마쳤지만, 질병청이 태도를 바꿔 사업 진행이 어렵게 되었다”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질병청 연계를 믿고 사업자를 선정한 것이지만, 이 때문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보다 다양한 정보 및 방송관련 소식은

공식 SNS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박혜원 기자 |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