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박근덕 교수 “DID 백신접종증명서에 타 증명서 연계해야해”

    • 강성경 기자
    • |
    • 입력 2021-04-08 16:22
    • |
    • 수정 2021-04-08 16:22
▲박근덕 교수 “DID 백신접종증명서에 타 증명서 연계해야해”

분산 신원증명(DID) 기술 기반 백신접종증명서에 타 증명서를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법학회, 한국정보보호학회가 주관하는 ‘블록체인으로 혁신하는 디지털 경제 정책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박근덕 서울외대 교수가 ‘블록체인 기반의 백신접종증명 주요 이슈(디지털 백신 여권 도입 방안)’에 대한 주제로 연단에 올랐다.

박근덕 교수에 따르면, 최근 정부24, 질병관리청 등 홈페이지에서 코로나19 관련 ‘예방접종증명서’의 온라인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중심으로 ‘백신 여권’ 도입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여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난 1월 헬스케어 기업들도 ‘모바일 백신 여권 서비스’ 출시에 나섰다. 현재 질병관리청도 ‘블록체인 기반 백신 예방접종 증명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모바일 앱 형태의 백신접종증명서를 발급하거나(영국), 그리스,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등과 협정을 맺고 타 국가간의 백신 접종증명서의 상호를 인증(이스라엘)했다. 스웨덴,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일본 등도 백신 여권 도입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에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세일즈포스, 메이요 클리닉 및 스위스 커먼 프로젝트 재단 등 민간 주도로 백신접종증명 이니셔티브(VCI) 설립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전자인증서 '백신 여권' 개발 착수했다.

백신 여권이 글로벌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서 백신접종증명서 발급, 보관(휴대), 이용(제출), 파기 등에 대한 이용자 편의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위변조 방지 등 보안성을 제고해야 하며, 진위성 검증을 위한 발급자 및 제출자 신원 확인 필요성, 디지털 약자를 배려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앱(디지털 증명서) 및 종이로 인쇄된 증명서 동시 운용성 등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에 박 교수는 백신접종증명서와 모바일 신분증 등 기존 신원 관리 시스템의 통합 운용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서비스 모델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DID 기술을 활용해 증명서의 복제나 도용을 방지하고 신분증이나 다수의 증명서를 동시에 자동 제출할 수 있다. 또한 증명서 상의 신원과 신분증상의 신원이 일지하는지 빠르게 비교 검증 가능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디지털 백신접종증명서 데이터로는 증명서 식별자나 명칭, 발행자명, 발행 날짜, 만료 날짜, 감염병 및 백신 식별자 등 증명서 정보와 접종자의 성명 및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덕 교수는 “디지털 백신접종증명서에 DID를 통합 운용해 여권, 탑승권, 백신접종증명서, 감염병검사증명서 등 필요한 모든 증명서를 1회 제출로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가간 상호 인증을 위한 글로벌 신뢰 앵커 구축하고 각 국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법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강성경 기자 |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