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금융(De-Fi)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탈중앙금융 서비스들이 전 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도 혁신 금융 산업의 가능성과 보완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을 담당한 핀테크 진흥팀 측은 최근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의 폭발적 성장은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며, 한국도 전 세계적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사전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개선할 점을 선제적으로 파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파이는 중앙이 신뢰를 100% 보증하는 중앙집중식 금융과는 달리 모든 참여자의 상호 신뢰 위에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이용자가 은행에 예금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은행에 그 돈이 있을 것으로 믿지만 디파이에선 보증하는 기관이 없는 것이다. 이를 두고 보고서에선 디파이에는 이용자가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며, 탈중앙화 금융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근본적인 이유라고 진단했다.
더불어 디파이에 예치된 자금 규모는 지난해 6월 19억 달러 수준에서 이달 240억 달러까지 늘었다. 반년 만에 약 12배 이상 몸집을 불린 것이다. 디파이 서비스별로는 탈중앙거래소(DEX)와 대출 서비스의 비중이 가장 컸으며, 최근엔 WBTC, 신세틱스 같은 합성자산이나 자산운용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디파이에 향하는 폭발적인 관심의 이유가 ‘투자 수요’라고 설명했다. 수십에서 수백 퍼센트까지 수익이 발생하는 디파이는 저금리 시대에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특히 파생상품 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뜻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고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이더리움을 예치해 대출받은 또 다른 가상자산을 통해 이더리움을 추가 매수하는 등의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고, 아직 디파이를 현실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가 많지 않지만 향후 자산운용, 파생상품, 보험 등 다양한 금융 분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으며, 사실상 전통 금융기관 업무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국내 디파이 시장 발전 프로세스로는 △디파이 생태계 조성기(2021~2022년) △기술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2023~2024년) △제품 간 융합 고도화기(2025~2026년) 등이 제시됐다. 정부 차원에서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과 금융사 간 서비스 연동, 디파이 전용 투자 펀드 조성 등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보고서에서는 개인이 비트코인을 사고파는 차원이 아니라 암호화폐와 정보통신기술(ICT)이 바꿔 놓을 금융과 삶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며, 디파이가 기술 주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금융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좀 더 기술적 관점의 제도적 장치와 지원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다 다양한 정보 및 방송관련 소식은
공식 SNS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