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형토큰(STO)이 업계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STO는 자산을 암호화폐 형태로 변환한 것으로 주식, 채권, 파생상품과 같은 전통 금융상품과 성격이 유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고정자산을 암호화폐로 쪼개서 판매해 일반인들이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하고, 암호화폐에 자산의 권리를 담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유로 올해 최대 화두로 ‘STO’가 꼽혔다. 세계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기 때문에 자본시장법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STO’가 확산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러나 이런 ‘STO’에도 엇갈린 시선이 존재한다. 부동산이나 예술품 처럼 유동화가 어려운 자산을 유동화하는데 STO가 해법이 될 수 있다는 반면 STO가 자산 유동화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STO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활용해 증권거래 시스템을 혁신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이다.
▲자산 유동화가 핵심
먼저 STO 발행 시장에 기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들이 진입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만한 점이다. 이미 확보한 이용자들이 있기 때문에 자금 모집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STO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가장 큰 단점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산을 유동화하는 증권형토큰의 성장 가능성 때문에 이미 부동산이나 벤처투자펀드, 예술품 등이 자산 유동화 목적으로 토큰화에 나서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STO가 확산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규제 당국이 여전히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은 별개라고 선을 긋고 있으며, 암호화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STO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자산유동화만 바라보면 금융위기 또 올수도
자산의 유동화에만 집중하는 STO는 결국 가치없는 자산들만 거래되는 레몬마켓을 만들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중점이다. 또한 유동화 가능성에만 집중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역시 주택담보대출유동화증권(MBS)의 무리한 발행이 원인이었으며, 자산의 유동화에만 집중한 STO도 결국 금융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관련해 STO는 증권거래 시스템 등을 혁신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 수수료 감소, 국경의 극복, 투명성 제고, 스마트컨트랙트 도입에 따른 계약이행 효율성 개선 등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두 가지 엇갈린 전망에도 공통점은 존재한다. 바로 “STO를 위한 정부의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정부의 확실한 대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