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김병준 한 달, 계파갈등은 ‘잠잠’…인적쇄신·가치 정립은 ‘아직’

    • 조아라 기자
    • |
    • 입력 2018-08-17 10:32
▲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16일 최저임금 인상에 반발하며 서울 광화문에서 천막 투쟁 중인 소상공인 119 민원센터를 찾아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계파갈등 봉합, 국가주의 논쟁, 자영업자 중시’. 17일 취임 한 달을 맞는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그간 주력한 부분이다. 김병준 체제 한 달간 한국당은 계파갈등을 가라앉혔고, 홍준표 전 대표의 ‘막말’이 사라진 자리에 담론·정책 논의를 채워 공당의 품격을 어느 정도 회복했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인적쇄신은 없고, 김 위원장이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가치 정립’도 뚜렷하게 구현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 결과 당 지지율은 여전히 정체 상태다.

6·13 지방선거 참패 후 되풀이된 친박(친박근혜계)·비박 갈등은 김 위원장 취임 한 달 동안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김 위원장은 지난 7월17일 당 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원장에 추인된 뒤 “잘못된 계파논리, 진영논리와 싸우다 죽으면 제게 큰 영광일 것”이라며 ‘계파갈등 수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과거지향적인 인적청산은 반대”(7월18일 첫 기자간담회)라며 양 계파를 모두 자극하지 않는 ‘신중 발언’을 유지했다. 

결과적으로 공개적인 계파충돌은 잦아든 상태다. 홍준표 체제에서 반복됐던 막말, 색깔론, 독선적 당 운영도 상당 부분 사라졌다. 홍 전 대표가 없앤 당 지도부·중진의원 회의도 부활하는 등 한국당이 한동안 사라졌던 당내 민주주의를 조금씩 회복하는 중이란 평가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당 안팎에서 ‘새로운 가치 논쟁’을 유도했다.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을 국가주의·대중영합주의로 규정하고 ‘탈국가주의’와 ‘자율’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각종 인터뷰에서도 담론과 당내 토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했다. 문재인 정부 정책에 날을 세우면서도, 극우·강경보수 시각은 경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5일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가 대북관계에 리더십을 발휘했다” “북핵 폐기가 가능하다고 본다” 등 남북 화해 분위기를 일부 긍정 평가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생가와 묘역이 있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하고 ‘노무현 정신’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김병준식 혁신의 한계가 더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정당정치 경험이 일천하고 당내 기반이 없다는 김 위원장의 ‘태생적 약점’이 거론된다. 어느 한쪽의 반발도 사지 않고 비대위를 운영하려다 보니, 인적쇄신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김병준 비대위는 16일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당원에 당원권 정지 등 ‘당헌·당규에 의거한’ 인적쇄신 방안 검토에 착수했다. 

하지만 선제적 조치가 아니라 당원권 정지 조치가 형평성에 맞지 않게 운용된다는 지적에 대한 대응 성격이 짙었다. 

김 위원장이 강조한 가치 정립 방향도 분명하지 않다. 당내 ‘가치·좌표 재정립 소위원회’를 꾸렸지만, 위원장에 뉴라이트 출신이자 ‘국가주의 사고의 정점’인 박근혜 정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지지한 홍성걸 국민대 교수를 임명했다. 김 위원장이 최근 ‘1948년 건국론’을 옹호하는 등 건국절 논쟁에 가세한 것도 봉하마을 방문과 박정희식 국가주도 경제모델 비판 이후 당내 강경보수층 비판을 의식했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왔다. 김 위원장이 탈국가주의·자율 등 ‘포괄적 담론’만 이야기할 뿐, 현안에 ‘구체적 대안’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허남설 기자 [email protected]

출처 : 경향신문

조아라 기자 | 조아라@tvcc.publishdemo.com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