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상 속 코로나를 준비하는 가운데, 백신여권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위드코로나’ 전환 검토 시점을 10월 말로 예고하면서 해외 출국을 위한 ‘백신여권’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각국간의 기술적 합의가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면서 국제 통용이 가능한 백신여권이 나타날 전망도 나타났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개한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이 백신접종 증명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국가나 검사시설마다 발행하는 양식이 달라 탑승수속 시간이 2시간 이상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IATA Travel Pass’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돼 복수의 항공사에서 이용이 가능하지만, 유사한 앱이 등장하며 이용자에게 혼동을 주고 있다.
이처럼 유사한 기능의 앱이 여러 개 존재하는 탓에 항공사, 방문자, 입국심사기관은 어떤 앱을 이용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고 사용하는 앱에 따라서 탑승 시 이용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질 우려도 있다.
국내 역시 다양한 백신접종 증명서가 개발됐지만, 아직 국제적으로 통용된 애플리케이션이 없기 때문에 협력을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ICT 통합보안기업 라온시큐어는 미국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과 블록체인 DID 기술을 기반으로, 코로나19 진단 자격증명을 발급·저장·검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에서 협력해 개발한 ‘COOV’ 역시 DID 기술을 기반으로, 질병청과 외교부에 기술 자문은 불론 백신여권을 개발 중인 국제 상위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백신접종 증명서는 개인 출입국 제한을 넘어 국가가 집단감염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으나, 기술적으로는 국가 개인감시에도 이용될 수 있어 프라이버시 보호 우려가 제기된다.
글로벌보건산업동향 보고서는 “향후 디지털 백신여권을 도입하는 경우 위조방지를 위해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라며 “여권의 본래 역할을 감안해 독자 개발이 아닌 세계 각국 규격 통일 논의 방향성을 확인하며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백신여권이 초점이 되겠지만, 스마트폰이 없는 혹은 기술을 접할 수 없는 이들을 고려해 종이 증명서 역시 병존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욱 다양한 정보 및 방송 관련 소식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